-
css로 스타일을 지정할 때, 적용 범위를 지정해줘야 하는데 그걸 수행하는 게 선택자이다. 선택자에 관한 많은 글들을 한데 모아보았다.
http://www.nextree.co.kr/p8468/
CSS: 선택자(Selector) 이해
웹 표준은 이제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키워드입니다. World Wide Web(WWW)의 의미대로 가능한 많은 사람이 웹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브라우저에서 ‘똑같이 보이는 것’이 아니라 ‘각 브라우저에 알맞게 보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웹 표준에서는 구조(Constructure)와 표현(Presentation)과 행위(Behavior)를 각각 분리해서
www.nextree.co.kr
https://www.fun-coding.org/crawl_basic4.html
웹크롤링 기본: CSS Selector를 사용한 크롤링 - 잔재미코딩
CSS Selector를 사용한 크롤링 Please enable JavaScript to view the comments powered by Disqus.
www.fun-coding.org
[SELECTOR] XPATH와 CSS Selector 차이
처음 python으로 크롤러를 만들때 requests와 bs4를 사용하였는데, bs4에는 XPATH에 대한 개념이 존재하지않았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CSS Selector에 익숙해져 있었는데, Selenium과 Scrapy를 접하면서 XPATH를 사..
heodolf.tistory.com
https://poiemaweb.com/css3-selector
CSS3 Selector | PoiemaWeb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HTML 요소(Element)의 style(design, layout etc)을 정의한다. 그리하려면 HTML이 존재하여야 하고 또한 style을 적용하고자하는 HTML 요소를 특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셀렉터(Selector)이다. 즉, style을 적용하고자하는 HTML 요소를 셀렉터로 특정하고 선택된 요소에 스타일을 정의하는 것이다.
poiemaweb.com
'웹개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블릿/JSP 공부#1 (0) 2020.06.28 프로젝트 ToDoList (0) 2020.05.12 vscode로 자바스크립트 실행하기 (0) 2020.05.10 자바스크립트 함수 (0) 2020.05.09 자바스크립트 변수 타입 (0) 2020.05.09